
주식공부 주식 거래량에 대한 진실에 우리가 주식을 하면서 가장 기본적으로 알고 가야하는 거래량을 다들 간과하고 단순히 차트만을 보며 매수 매도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식 거래를 오래하거나 주식 투자를 잘 하시는 분들은 차트와 거래량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투자를 하고 수익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주식 매매에 필요한 거래량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1. 주식매매 거래량의 정의 공부
장기적인 투자 국면에서 주식의 주가는 궁극적으로 펀더멘탈에 회귀를 한다고 알고 있지만, 단기적 또는 중기적으로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소위 수급이고 주식 시장의 말중에 “수급은 모든 재료에 우선시 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수급이라는 것은 수요와 공급에 작용하는 에너지 다시말해 ” 거래량”을 말하며 거래량 중에서 바로 매수세를 일컫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바닥권에서 거래량이 늘어나는 것이 좋으며, 상투권에서는 거래량이 늘어나는것을 좋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거래량이 곧 매수세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왜 거래량이 매수세를 의미할까요?
거래량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에 파는 사람이 많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그만큼 매도세도 강한것이 아닌가? 고점이라도 매도를 할 사람이 없으면 주가는 하락을 할수 없을텐데 왜? 매수세만을 강조하는 것일까?
주식은 언제나 현금화가 가능하며, 곧 환급성이 뛰어난 대표적인 투자상품인데, 주식을 소유한 주식 투자자는 자신이 보유한 주식을 누군가에게 넘겨야 현금화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익을 현실화 하기 위하여서는 주식을 매도 하여야 하며 이렇게 하기 위하여서는 필수로 매수세가 등장을 하여야 합니다. 누군가 수익을 보고 매도로 나서지만 그 보다 많은 사람이 주가가 최근에 상승을 하였다 하더라도 보다 높은 가격에 팔 수가 있다고 믿는 매수세가 등장을 하여야 하는 것이며 이것은 결국 거래량의 증가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2. 주식매매 거래량의 잘못된 오해 공부
가끔 생기는 잘못된 생각은 거래량이 없는 상태는 매도할 사람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매수할 사람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종목의 상승 초기에는 거래량의 증가는 절대적으로 필연적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상투권에서 거래량의 증가는 매수세가 높은 것으로 이해를 하여야 하는 것일까?
“여기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똑같이 가지고 매수한 사람들이 현재는 매우 많은 상태라고 한다면 고점에서의 매수세 유입량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때에 수익이 생긴 주식 투자자들은 조금 낮은 가격이라도 매도를 하게 되며 고점에서 매수를 한 사람들은 손절매로 덩달아 낮아지는 가격에 매도세에 동참을 하게 되며 결국은 상승시기와는 다르게 낮은 가격이라도 매수할 사람이 생기게 되면 그 가격에서라도 매도하고자 하는 심리가 커지게 되면서 종목의 거래량이 증가를 하는 것입니다.
이것으로 인해서 매도벽이 두꺼워지며 이는 통상적으로는 고점에서 이전의 거래량을 상회하는 거래량이 나타나지 않는 이상에는 하락추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다시말해, 주가상승기에 거래량의 증가세와 상투권에서의 거래량 증가세가 그냥 보기에는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르다는것을 알고 가셔야 합니다.
주식을 매수할 사람이 많아 “너도 나도 경쟁이 붙어” 높은 가격에서라도 주식을 매수하여야지만 주가는 올라가는 것입니다.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수한다고 주가가 단순히 오르는 것은 아닙니다. 누군가 높은 가격에 주식을 매수 하여 야지만, 종목의 주가가 상승을 하는 것입니다.
거래량의 증가는 매수세를 말하지만, 매수세의 질이 고가에 사려는 매수세인가, 아니면 저가에 사려는 매수세인가에 따라서 주가가 더 오르느냐 내리느냐가 결정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