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눌림목검색식 상당히 높은 승률의 단타검색식을 공개하려고 합니다. 우선 다들 이부분에 대한 부분을 이해하고 이것에 대한 활용법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자합니다.
주식을 이제 접하기 시작하시는 분에게는 “눌림목”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생소할 수 있고, 실전에서 내려가는 것과 하락의 조정을 구분하지 못하여 매매에 혼선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일단 개념부터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눌림목이란?
주가가 일정한 기간 상승의 흐름을 이어가던중에 단기 차익실현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는 구간을 이야기 합니다. 이것은 급락이 아니라 상승 추세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가가 지지라인을 따라서 자연스럽게 눌리게 되는 형태를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 풀자면 pullback이라는 말로 지칭을 하며, consolidation은 횡보 및 박스권에서의 정체를 말하는 경우가 있어 약간의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주식에서 눌림은 일반적으로 20일선 또는 60일선과 같이 주요 이동평균선 부근에서 발생을 하는 경우가 많고, 상승을 이어가던중 가격에 대한 숨고르기를 하는 구간으로 분석을 합니다.
결국에는 이러한 구간 매수라는 것은 추세가 죽지 않고 살아 있는 종목을 보다 좋은 가격에서 매수를 하는 전략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2. 매매의 전략
매매에는 단기적인 상승세가 이어가던중, 일정한 수준에서 조정을 기다리고 저점에 접근한 시점에 매수를 공략하는 방식입니다. 이방식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1) 고점 진입 리스크의 감속
- 급등직후에는 매수를 하게되면 고점에서 물리는 경우가 많지만, 눌림목 매수는 비교적으로 가격이 안정적인 시점에서 진입을 하실 수 있기에 리스크를 분산하실 수 있습니다.
2) 수익률의 극대화
- 조정이후에 상승을 다시 하려고 하는 시점에 진입을 하시게되면, 이후의 반등 폭 전체를 수익구간으로 확보하실 수 있단느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에는 단기매매는 물론, 스윙이나 포지션 트레이딩에서도 이러한 매매 방식은 빈번하게 이용이 됩니다.
3. 매수의 기준
실제 주식장에서 매수 타이밍을 판별할때는 아래와 같은 요소들을 단편적으로 보시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으로 판단을 하셔서 종목을 잡는것이 일반적입니다.
1) 이평선이 지지를 하는지
- 20일 또는 60일선과 같은 중요한 이평선 위에서 주가가 조정을 받으면서 지지가 되는 모습이 나타나는 경우에 이는 추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강력한 신호라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 이평선을 이탈하지 아니하고 눌리는 흐름이라고 한다면 기술적으로 판단을 하실 수 있습니다.
2) 거래량이 감소하는지 흐름을 관찰
- 이러한 구간에서는 거래량이 차츰 줄어드는 움직임을 보이게되는데, 이것에 대해서는 매도세가 점차 줄어든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 반면에 거래량이 증가를 하면서 주가가 하락을 하는 경우에는,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하락으로 전환이 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기에 주의하셔서 매수를 하셔야 합니다.
3) 캔들의 흐름과 변화
- 하락 흐름중에 저점 부근에서 도지형 캔들 또는 장대음봉 이후에 양봉으로 전환되는 흐름이 연출된다면 매수세 유입의 초기 징후로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 단일 캔들이 아니라 연속된 패턴의 변화에 주목을 하는것이 실효성을 높이는데 매우 도움이 됩니다.
4) 보조지표의 분석
- RSI,MACD,볼린저밴드와 같이 보조지표를 통하여 과매도에 진입을 하였는지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 단지 지표는 반드시 주가흐름과 거래량, 이평선등의 다양한 지표를 병행하며 체크를 하셔야지 신뢰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이와 같이 이평선지지, 거래량, 캔들 패턴, 보조지표 중에 최소 두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확인을 하시고 진입을 하시는 것이 바람직한 매매의 방법입니다.
단순히 감에 의존하여 진입하시는 것보다는 보다 명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접근하는것이 장기적으로 수익률에 안정성을 가져오게 됩니다.
5) 단순한 조정과 눌림목에 대한 구분
모든 조정이 이러한 구간은 아닙니다. 하락추세로 전환된 종목의 조정은 눌림구간이 아니라 단기적인 반등에 불과할 수가 있고, 상승 추세에서 나타나는 눌림과는 전혀다른 성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에 매수하시기 전에는 반드시 해당 종목이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체크하셔야합니다.
이는 하락 추세에서 훼이크에 속지 않기 위한 선별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자면 한종목이 3개월간에 30%이상의 하락을 하고 잠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일수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 겉으로는 눌림 구간으로 보이실 수 있으나, 이미 고점에 대비하여 하락추세가 명확하다면 이것은 눌림이 아니라 단순한 기술적인 반등일 수가 있습니다. 반면 상승 흐름속에서 5~10% 내외 조정을 받게 되고 거래량이 줄어 들면서 이평선의 지지를 받게된다면, 이것은 확실한 구간으로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4. 검색식 설정

설명: 대상변경은 매입하고자 하는 범위를 지정하기 위해서 입니다. 가장 우선적인것은 우선주와 스팩주들은 빼시고 시작하는 것입니다.
1) 검색식의 설명 및 검색식
A : 가격-이동평균 비교 : [1분]0봉전 (종가 195)이평 < 종가
O : 주가범위 : 0일전 종가가 2300 이상 93000이하
Q : [일]거래대금 (일:백만, 분:천) 5000이상 999999999 이하
P : 주가등락률 : [일]1봉전(중) 종가대비 0봉전 종가등락률 11% 이상
R : 주가등락률 : [일]0봉전(중) 고가대비 0봉전 종가등락률 -1% 이상
- 가격 이동평균 비교 : 1봉 0봉전 종가가 195일선 보다 크다 (195일선보다 위에 있어야지 상승이 강하며 라인이 깨지지 않고 있다면 반등이 강력하다는 결론이 생깁니다.
- 주가범위 0봉전 종가가 2300 이상 93000이하 (93000원 이상에서 매매를 하시는것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10만원 이상에서는 상승력이 무거워 매수 유입이 들어오게 되더라도 움직임이 둔합니다.)
- 일거래대금 50억 이상 (어느정도의 거래대금이 있어야지 상승이 강하게 작용합니다.)
- 주가 등락률 일 1봉전 종가대미 0봉전 종가등락률 11%이상(전일 종가를 대비해서 11%이상 종목은 당일의 강세 종목으로 우선 판단을 합니다. 11% 이상의 종목을 중요한 타켓으로 봅니다.
- 일0봉전 고가대비 0봉전 종가 등락률 -1%이상(1) (당일 최고가 대비해서 -1%이상인 종목을 이야기 하며 고가에서 1% 빠진 종목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제외를 합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바로 눌림목을 잡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S : 주가등락률 : [일]0봉전 (중) 고가대비 0봉전 종가등락률 -6% 이상
U : 주가비교 : [일]0봉전 시가 < 0봉전 종가
Y : 주가 등락률 : [일]1봉전(중) 종가대비 0봉전 시가등락률 8%이하
- 일 0봉전 고가대비 0봉전 종가등락률 -6%이상(2) (고가 대비하여 현재가가 -6% 이상의 종목들은 배제를 합니다. 위에 1번과 2번을 합치게 되면 고점 대비하여 -1%, -6% 사이에 있는 종목만 나오게 됩니다.
- 일 0봉전 시가보다 종가가 크다 (시작가 아래로 빠지는 종목들을 제외하기 위해서 입니다.)
- 주가 등락률 일 1봉전 종가대비 0봉전 시가등락률 8% 이하 (시가 갭이 너무 많이 뜬 종목은 급락이 잘 나오기때문에 제외를 합니다.)
조건식 : (A and O and Q and (P and (!R and S))) and U and Y
2) 검색식 최종
이렇게 검색식을 완성하시면 됩니다. 앞부분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드렸는데 종목이 검색식에 뜨게된다면 먼저 이해가 머리속에 있어야 합니다.
진짜 생각하는 구간인지 아니면 훼이크인지 우선 검색식에 노출된 종목으로 우선 거르시고 이후 머리속에 앞부분에 눌림구간의 거래량 그리고 이평선 지지를 확인하시면서 차분한 마음으로 매매에 임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