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단타매매 공부 및 단타기법에 대한 요점정리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2일에서 3일 또는 일주일 혹은 한달 이상의 다양한 기간 모두 기본적인 전략 자체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중장기 매매는 느긋하게 추세를 가져가면 되겠지만 단기매매에서는 빠르게 상승을 하는 변동성을 이용하여 수익을 가져가야 합니다. 그러기 위하여서는 강력한 수급이 필요하며 많은 사람들이 주목을 하는 시점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1. 단타매매 종목 선정
앞에 단기매매일수록 큰 변동성과 수급이 필요하다고 말하였습니다. 조금 더 살펴보면 변동성이 크면 클수록 충분한 이익을 확보할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급이 계속하여서 붙는다면 단기적으로 추세가 형성되어 매수 이후 얼마간 이익의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생기며 수급이 많다면 내가 원하는 금액에 매도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10,000원에 매도를 하였는데 호가창이 얇아서 호가 단위가 듬성듬성 있어서 10,000원에 체결을 하지 못하고 몇 호가 내려간 9,900원에 체결을 하게 되는 일이 적다는 말입니다.
2. 주식 역추세(5분봉)
주 추세 진행 중에 차익 매물 등으로 주 추세에 역행할 때에 매수를 하는 방식입니다. 장 초반에 강하게 상승을 하는 종목을 대상으로 합니다. 기준봉은 5분봉입니다. 처음 5분봉은 관망을하며 5분내에 5% 이상 상승을 한 종목을 찾습니다. 이후에 거래량 없이 5일 이평선 아래로 하락이 나올 수에 단기 반등을 노리고 매수 진입을 합니다. 장 초반, 10시 이전의 승률이 좋은 편입니다.

3. 시세돌파에 진입
돌파에 진입을 하는 방식입니다. 실전 투자 대회같은 상위의 단타매매를 하시는 몇분이 사용하고 있고 단기돌파매매는 AI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매매 대상은 굉장 많습니다. 기준을 어떠한 곳에 두고 있느냐에 따라서 굉장히 많은 종목들이 매매 대상이 될 수가 있습니다. 돌파 진입 자체는 어려운 것이 아니기에 설명은 패스하도록 하겠습니다.

4. 전일 종가 기준으로 눌림목 진입
캔들이 긴 양봉이 형성되고 이후에 한동안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 가정을 하고 장 시작 이후 조정에 진입을 하는 방식입니다. 전일의 종가 이하로 내려갈 경우 매수를 시작하여 2~3번에 나누어 분할로 매수 또는 한번에 매수이후 일정한 수준의 리스크선에서 손절을 하고 전일 종가 위로 반등을 할때 이익실현을 하기위한 매도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