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재무지표 분석 및 펀더멘털 감성
1-1. 손익·수익성 분석
- 매출 추이
현대힘스의 최근 연간 매출은 2022년 약 1,448억 원 → 2023년 약 1,892억 원 → 2024년 약 2,232억 원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2025년 6월)에도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한 약 1,207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컴퍼니 가이드 - 영업이익 흐름
영업이익도 2022년 38억 원 → 2023년 145억 원 → 2024년 215억 원으로 크게 확대되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21.2% 증가한 155억 원을 기록하며 수익성 개선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컴퍼니 가이드. - 당기순이익 추이
순이익 역시 2025년 상반기 기준 약 63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3.4% 개선되어 기업의 수익 구조가 개선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컴퍼니 가이드.
1-2. 재무 상태 및 자산 구성
- 자산 규모
총자산은 2022년 약 2,336억 원에서 2024년 3,265억 원으로 증가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3,318억 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으로 증가 중입니다 컴퍼니 가이드밸류라인. - 유동성 지표
유동자산은 2022년 293억 원 → 2024년 726억 원 → 올해 반기 785억 원으로 확대되었고, 특히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30억 원 수준에서 올해 351억 원까지 크게 증가하여 유동성 부담은 크지 않습니다 밸류라인.
1-3. 가치평가 및 수익성 지표
- PER
실적 기준 PER는 약 48–49배 수준이며, 업종 평균 PER(운송장비·부품) 약 50배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Wisereport컴퍼니 가이드. - PBR
PBR은 약 3.5배로, 자산 대비 주가가 다소 높게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Wisereport컴퍼니 가이드. - EV/EBITDA
약 21.3배로, 업종이나 동종 기업 대비 중위권에 해당하며 투자 매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Investing.com 한국어. - ROE 및 ROA
ROE는 약 8.1%, 자산수익률은 약 5.8%로, 수익성 지표도 안정적입니다 Investing.com 한국어.
2. 기술적 차트 분석
- 기술지표 요약
Investing.com 및 TradingView에 따르면 현대힘스는 일간, 주간, 월간 모두 ‘적극 매수’ 신호를 받고 있으며, 주요 기술지표(MACD, 이동평균선, RSI 등)도 상승 흐름이 강함을 보여줍니다 Investing.com 한국어. - RSI
RSI(14일)는 약 59.7로, 과매수 구간은 아니며 추가 상승 여력을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Investing.com 한국어. - 피봇 기반 지지·저항 수준
AI 분석에 따르면, 지지선은 18,340원, 저항선은 19,150원에서 19,700원 사이로 설정되어 있으며, 단기 매매 기준 포인트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Investing.com 한국어. - AI 분석 상승 확률
AI 기반 모델은 현대힘스의 향후 상승 가능성을 **85%로 판단하며 신뢰도는 90%**에 달한다고 평가하였습니다. 이는 기술적 지표뿐 아니라 펀더멘털까지 고려한 긍정적 판정입니다 Investing.com 한국어.
3. 향후 주가 방향성 전망
3-1. 긍정적 전망 요인
- 탄탄한 실적 성장
매출·영업이익·순이익이 모두 성장세이며, 업황 회복과 맞물려 안정적 실적이 기대됩니다. - 강한 기술적 모멘텀
다수 지표에서 매수 흐름이 명확하며, AI 분석까지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수급 활성화
거래량, 거래대금 모두 급증하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신사업 기대감
영상 기반 자동화, 글로벌 물류 테마 등과 관련된 뉴스가 일부 커뮤니티에서 언급되며 추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팍스넷.
3-2. 리스크 요인
- 과중한 밸류 부담
PER 및 PBR 수준이 높아 단기 투자자들이 조정 시 매도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 단기 과열 가능성
일부 기술지표(예: MACD, 스토캐스틱 등)가 과열 국면에 진입할 경우 단기 조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외부 요인
글로벌 물류, 조선 수요 변화 등의 외부 환경 리스크가 실적과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현대힘스는 기존의 저항대를 과감히 갭상승하는 움직임으로 돌파를 하였습니다. 매물대 구간의 힘이 약하기 때문에 차익실현 물량이 어느정도 빠져준다면 더높은 가격대로 움직임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종가시 음봉이 나와줄때, 그러니까 눌림목 구간이 나올경우에 차분히 분할로 매수 해보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4. 종합 평가 및 투자 전략
투자 관점 | 전략 제언 |
---|---|
단기 전략 | 피봇 저항선 돌파 시 진입, 과열 시 일부 익절 권유 |
중기 전략 | 실적 발표 동향과 산업 업황 회복 확인 후 추세 대응 |
장기 전략 | 밸류 부담 해소 및 신사업 성과 기반으로 분할 진입 및 보유 |
5. 비교 대상 기업 선정 및 범위
현대힘스는 조선 및 해양 기자재 분야에 속한 기업으로, 주요 경쟁사로는 케이에스피, 오리엔탈정공, 세진중공업 등이 주목됩니다. 이들 기업은 조선 장비나 해양 기자재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현대힘스와 유사한 업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분석에는 FnGuide의 경쟁사비교 데이터를 활용하였습니다.FnGuide
6. 재무지표 비교 (연간 기준, 연결 기준)
아래 표는 **현대힘스와 경쟁사(케이에스피, 오리엔탈정공, 세진중공업)**의 주요 재무 지표를 비교한 것입니다.
항목 | 현대힘스 | 케이에스피 | 오리엔탈정공 | 세진중공업 |
---|---|---|---|---|
주가 (원) | 약 23,200 | 약 4,800 | 약 6,920 | 약 13,300 |
시가총액 (억원) | 8,231 | 1,929 | 3,154 | 7,561 |
매출액 (억원) | 2,232 | 853 | 2,073 | 3,117 |
영업이익 (억원) | 215 | 138 | 249 | 359 |
당기순이익 (억원) | 166 | 153 | 261 | 184 |
PER (배) | 48.8 | 12.5 | 12.1 | 66.6 |
PBR (배) | 3.52 | 2.68 | 2.83 | 4.03 |
ROE (%) | 8.07 | 25.99 | 26.45 | 6.16 |
영업이익률 (%) | 9.66 | 16.20 | 12.00 | 10.21 |
매출 증가율 (%) | 17.96 | 4.46 | 31.60 | -8.43 |
영업이익 증가율 (%) | 48.98 | 16.66 | 94.84 | 7.23 |
EPS 증가율 (%) | 39.19 | 11.56 | 192.44 | –33.71 |
7. 주요 항목별 분석
7.1 수익성 (ROE 및 영업이익률)
- 현대힘스의 ROE는 약 8%, 영업이익률은 **9.7%**로, 경쟁사에 비해 중간 수준입니다.
- 케이에스피와 오리엔탈정공은 각각 ROE 26%, 26%로 수익성이 상당히 뛰어난 반면, 세진중공업은 낮은 수준입니다.
- 즉, 현대힘스는 수익성은 평균 이상이지만, 특정 경쟁사에 비해선 다소 낮은 편입니다.
7.2 성장성
- 매출 증가율 측면에서 현대힘스는 18% 수준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으나, 오리엔탈정공은 31%로 더 높고, 세진중공업은 감소세였습니다.
- 영업이익 증가율은 현대힘스가 49% 증가해 긍정적 흐름이나, 오리엔탈정공은 무려 95% 증가하며 성장세가 가장 강했습니다.
7.3 밸류에이션
- 현대힘스의 PER는 약 48배, 경쟁사보다는 높은 수준이나 동종 업종 평균(예: 운송장비·부품 업종 PER 약 47배)과 유사합니다.Wisereport컴퍼니 가이드
- PBR은 3.5배로 자산 대비 주가가 약간 고평가된 모습입니다.
7.4 재무 안정성
- FnGuide 비교에서는 현대힘스 유동비율, PBR 등에서 평균 이상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사업 다각화와 자산 기반 확충을 통해 외부 충격에 대한 대처가 가능함을 보여줍니다.컴퍼니 가이드
8. 전략적 차별화 요인
8.1 산업 내 위치
8.2 신사업 및 확장성
- 최근 항만 크레인 생산 시설을 신설하고, 항만 장비 분야 수주 확대를 꾀하고 있습니다.시그널
- 조선기자재 외에도 산업용 산소·질소 발생기 등 알기 어려운 분야로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입니다.컴퍼니 가이드
9. 종합 평가 및 투자 시사점
현대힘스는 견실한 실적 성장, 안정적인 재무구조, 그리고 대형 고객 기반을 강점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밸류에이션은 경쟁사에 비해 다소 높지만 평균 수준이며, 신사업 확장 및 구조적 성장 잠재력이 있습니다.
- 수익성: 평균 이상의 ROE/영업이익률 유지
- 성장성: 경쟁사 대비 중상위 수준
- 안정성: 자산과 고객 기반 확보로 우려 적음
- 리스크: 밸류 부담 및 경쟁 심화 가능성 존재
종합적으로는 중장기 투자자분들께 충분한 관심이 필요한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조선 산업 회복과 함께 신사업 성과가 가시화될 경우, 시장에서의 재평가 가능성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