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업 개요 및 IPO 후 주가 흐름
더본코리아는 백종원 대표의 F&B 외식 브랜드(빽다방, 한신포차 등)를 중심으로 한 프랜차이즈 기업으로, 2024년에 코스피에 상장한 후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특히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출연 등으로 화제성을 끌었음에도, 상장 첫날 6만4500원까지 치솟던 주가는 이후 가파르게 하락하여 현재는 공모가(3만4000원)를 밑돌고 있습니다. 이는 고평가 논란과 함께 투자자들의 신뢰가 흔들린 결과입니다.다음
2. 더본코리아 공모가 고평가 논란과 시장의 반응
상장 당시 더본코리아는 ‘오너의 브랜드 파워’에 과도하게 의존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공모가가 적정 수준을 초과하여 책정되었다는 지적이 있었고, 상장 후 주가 반등은커녕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지며 투자자들의 실망을 자아냈습니다. 특히 일부 전문가들은 “프랜차이즈 업종의 성장 한계와 빽햄 논란 등으로 오너 리스크가 컸음에도 주관사들이 수수료 이익에만 몰두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다음Nate News
3. 최근 실적 추세 및 재무 상황
공개된 최근 실적 전망에 따르면, 2025년 매출은 약 41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1% 감소, 영업이익은 2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8.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내림세가 뚜렷하여 역성장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Greened
4. 더본코리아 기업 가치 평가 (밸류에이션)
- Peter Lynch 방식 공정가치 분석에 따르면, 평균 성장률을 적용했을 때 추정 공정가치는 약 3,981원으로, 현재 주가(13,500원) 대비 약 -70.5%의 평가절하 여지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ValueInvesting
- 반면에, DCF(현금흐름 할인) 방식 분석에서는 공정가치를 약 18,963원으로 추정하여, 현재 주가 대비 +40.5% 상승 여력이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습니다.ValueInvesting
이처럼 평가 방식에 따라 해석이 극명하게 갈리기 때문에, 단일 지표만으로 투자 판단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5. 테크니컬 시그널 및 주가 추세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최근 추세는 확실한 상승 신호보다는 보합 또는 약세 흐름에 가깝습니다. 예컨대 3개월 단기 이동평균과 12개월 장기 이동평균의 교차 등에서 ‘매도’ 신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StockInvest
뿐만 아니라, 거래량과 변동성이 낮아 유의미한 기술적 패턴 분석 자체가 제한적이라는 한계도 존재합니다.

(연두색의 하락 추세선을 이탈하게 되면 다시 더 깊게 새로운 하락 추세선을 만들 수 있습니다.)
6. 더본코리아 향후 전망 및 투자 시 유의사항
긍정적 요인
- 브랜드 파워가 여전히 잠재적 자산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DCF 방식의 평가에서 상승 여력이 나타났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향후 실적이 안정적으로 반등하거나, 시장 신뢰 회복 및 리스크 완화가 이루어질 경우 주가 반등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부정적 리스크
- 프랜차이즈 업종의 성장 한계, 오너 리스크, 고평가 논란에 따른 시장 신뢰 저하가 지속되면 주가 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실적 악화에 대한 전망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 리포트가 줄어들며 시장의 분석 정보 자체가 부족해진 점도 투자의 불확실성을 더합니다.First-Class 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Greened
7. 더본코리아 종합 평가 (요약 테이블)
항목 | 요악 요인 |
---|---|
상장 이후 주가 흐름 | 공모가 대비 하락, 고평가 논란 |
실적 전망 | 매출 및 이익 역성장 예상 |
밸류에이션 | Peter Lynch: 부정적, DCF: 긍정적 평가 혼재 |
기술적 흐름 | 상승 신호 미미, 거래량 감소 |
향후 리스크 & 기회 | 브랜드 파워 vs 시장 신뢰 하락, 실적 반등 여부 |
- 📉 매출 : 2025년 전망치가 2023년 대비 약 11% 감소
- 📉 영업이익 : 같은 기간 약 40% 가까이 줄어드는 하락세
즉, 실적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 점이 주가 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 🟢 상장 직후 : 64,500원까지 급등
- 🔻 이후 하락세 : 공모가(34,000원) 부근까지 빠르게 내려옴
- 📉 최근 흐름 : 24,000원대까지 하락하며 박스권 형성
즉, 초기 기대감 → 고평가 논란 → 실적 부진 우려로 이어진 전형적인 하락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8. 결론 및 제언
존경하는 투자자님께서는 단기적인 주가 급등에만 주목하기보다, 실적 개선 여부, 기업의 리스크 변화, 시장 신뢰 회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양가적 평가가 존재하기 때문에, DCF 기반의 상승 가능성과 실적 하락에 따른 리스크를 모두 감안하되, 보수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전략도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